전체 글 280

한국: 세계 최저 출산율의 구조

2024년 1분기 기준,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5명으로 전년 연간 수치인 0.72명 대비 소폭 증가했다. 9년 만에 처음으로 반등한 셈이지만, 여전히 세계은행, OECD, 유엔 등 주요 국제기구 통계에서 세계 최저 수준이다. 2018년 이후 6년 이상 출산율 1명 미만이 지속되고 있다. 출생아 수도 2023년 기준 23만8289명으로, 전년보다 약 8300명 증가했지만 2015년 이후 처음 나타난 미세한 반등에 불과하다.한국은 산업화 이후 인구 전환이 유례없이 빠르게 진행됐고, 그 속에서 가임기 여성의 삶은 점점 더 불안정해졌다. 정부는 2006년 이후 약 280조 원 규모의 저출산 대응 예산을 투입했지만, 그 결과는 뚜렷한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았다.출산율이 낮은 이유로 자주 언급되는 건 주거비, 교..

시사 2025.07.07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일본식 해법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인구 감소 시대에 진입한 나라다. 출산율 저하, 고령화, 지역 소멸이라는 세 가지 흐름이 1990년대부터 동시에 진행됐고, 2008년을 전후해 총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섰다. 2023년 기준 일본의 합계출산율은 1.20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인구의 약 29.3%가 65세 이상이다. 유엔과 일본 정부는 2100년까지 인구가 8천만 명 안팎으로 줄어들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그러나 일본의 사례는 단순한 '감소'보다 그 이후 사회가 어떤 구조적 적응을 시도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선례로 평가된다. 특히 고령화 속에서 사회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실험은, 다른 국가들에게도 참조할 만한 지점을 제공한다. 지역에서 먼저 무너진 인구 구조일본 인구 문제의 출발점은 도..

시사 2025.07.06

글로벌 저출산 시대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전 세계의 인구 문제는 '증가'였다. 산업혁명 이후 급격히 낮아진 사망률과 함께 출산율은 여전히 높았고, 개발도상국은 물론 선진국조차 인구 폭발의 경고음에 시달렸다. 1960년대의 인구론자들은 기근, 전염병, 자원 고갈을 우려했고, 인구 증가에 대한 비관적 전망이 주류를 이뤘다.그러나 21세기 들어 분위기는 급변했다. 지금 세계는 인구 증가보다는 '감소'와 '불균형'이라는 정반대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많은 선진국은 이미 인구 정점을 지나 감소기에 진입했고, 중진국과 개발도상국들도 예상보다 빠르게 저출산화되고 있다. 유엔 경제사회국(UN DESA)이 2024년 발표한 ‘세계 인구 전망’(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4)에 따르면, 세계 인구는 2084년 ..

시사 2025.07.06

생로랑과 로제의 파트너십

생로랑은 마른 체형과 감성, 태도에 기반한 미적 기준을 제안해 왔다. 키 168.7cm에 마른 체형, 팔다리가 긴 로제의 실루엣은 생로랑의 옷이 지향하는 선과 비례와 잘 맞아떨어진다. 슬림한 가죽 재킷, 구조적인 오버사이즈 블레이저, 블랙 스키니진은 모두 마르고 키가 큰 몸매를 염두에 둔 디자인이다.안토니 바카렐로가 구축하는 파리지엔 록 앤 롤 현재 생로랑을 이끄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안토니 바카렐로는 '파리지엔 록 앤 롤'이라는 스타일을 강조한다. 반항적이면서 세련되고, 우아하면서도 공격적인 감성을 갖춘 복합적 이미지다. 로제는 이런 양면적 특성을 무대와 일상 사이에서 유연하게 표현한다. 무대 위에서의 카리스마와 사적인 자리에서의 수수함이 공존하고, 클래식한 슈트도, 다소 거친 가죽 의상도 자연스럽게 ..

패션 2025.07.05

파리 오페라 발레단의 에투알

파리 오페라 발레 학교는 1713년 설립되어 3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세계 최고(最古)의 발레 교육기관으로, 세계 발레계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에서 배출된 무용수들은 발레사에 깊은 족적을 남겼으며, 각기 다른 세대와 스타일을 대표하는 예술가들이 학교의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오렐리 뒤퐁과 실비 길렘을 비롯해 마튀유 가니오, 도로테 질베르, 위고 마르샹 등이 이 학교의 예술적 가치와 교육 철학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 인물들이다.오렐리 뒤퐁오렐리 뒤퐁(Aurélie Dupont)은 1989년 파리 오페라 발레단에 입단한 후 1998년부터 수석무용수 중 최정상급을 일컫는 '에투알(Étoile)'로 활동했다.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이 학교에서 교육받으며 기술과 표현력 모두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졸업 ..

발레 2025.07.05

파리 오페라 발레 학교와 발레단의 관계

파리 오페라 발레 학교와 파리 오페라 발레단의 관계는 단순한 교육기관과 예술단체의 연결을 넘어선 프랑스 발레 전통의 핵심 구조를 형성하는 고유한 시스템이다. 이 둘은 같은 국립 오페라 조직에 속해 있으며, 교육과 실무, 전통과 실천의 연결고리로서 긴밀히 엮여 있다.역사적 기원과 발전파리 오페라 발레 학교는 1713년 루이 14세에 의해 공식적으로 창설되었으며, 이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발레 교육기관이다. 당초에는 아카데미 소속 전문 무용수들을 위한 클래스로 시작되었으나, 1780년이 되어서야 아동을 위한 전문 교육기관으로서의 첫 규정이 제정되었다. 이후 3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직접 전수 방식을 통해 프랑스 발레 스타일의 정수를 보존하고 발전시켜 왔다.1987년 클로드 베시의 주도 하에 크리스티앙 드..

발레 2025.07.05

문화대혁명과 퇴폐예술 전시회

20세기 중반, 독일과 중국에서는 서로 다른 정치체제 속에서 예술을 제한하고 공격한 사건이 발생했다. 독일 나치 정권은 1937년 퇴폐예술 전시를 통해 현대 미술을 조롱했고, 중국은 1966년부터 1976년까지 이어진 문화대혁명을 통해 전통문화와 지식인을 공격했다. 두 사건은 각각 파시즘과 공산주의 체제에서 벌어진 일이지만, 국가가 특정한 이념을 기준 삼아 예술과 문화, 지식의 경계를 정하고 배제하는 방식을 택했다는 점에서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전시와 폭력퇴폐예술 전시는 1937년 7월 19일 독일 뮌헨의 호프가르텐에 있는 고고학 연구소에서 시작되어 전국 순회 전시로 이어졌다. 전시된 작품은 32개의 독일 미술관에서 압수한 650점의 미술작품이었다. 파울 클레, 바실리 칸딘스키, 막스 베크만, 오토 딕..

칼럼 2025.07.05

미국의 셰일 가스 혁명: 에너지 질서의 재편

셰일은 점토와 유기물이 퇴적되어 굳어진 암석층으로, 그 틈 사이에 석유와 천연가스가 미세하게 갇혀 있다. 하지만 이 자원은 너무 깊고 확산되어 있어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채굴이 불가능했다. 오랜 기간 에너지 산업의 주변부에 머물렀던 이 암석층은, 2000년대 이후 수평 시추와 수압 파쇄, 두 가지 기술의 등장으로 에너지 혁명의 중심으로 부상했다. 수평 시추는 지하 수천 미터의 셰일층을 따라 수평으로 관정을 뚫어 넓은 면적에 접근할 수 있게 하고, 수압 파쇄는 고압의 물과 모래, 화학약품을 주입해 암석을 인위적으로 깨뜨리는 방식이다. 이 기술은 1990년대 후반 텍사스 북부 바넷 셰일 지역에서 상업적 가능성이 입증됐고, 미첼 에너지 같은 선구적 기업들의 주도로 상용화가 이루어졌다. 이후 2000년대 중..

칼럼 2025.07.04

파리 오페라 발레 학교의 변화: 전통과 혁신 사이의 균형

파리 오페라 발레 학교는 1713년 설립되어 2013년 300주년을 맞은 전통의 발레 교육기관이다. 3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이 학교는 최근 몇십 년간 크고 작은 변화를 거쳐왔다. 이 변화들은 단순한 커리큘럼 개편에 그치지 않고, 교육 철학, 인재 선발 방식, 신체와 정신에 대한 접근까지 다양한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전통을 고수하면서도 시대의 흐름을 외면할 수 없었던 이 학교는 변화와 보존 사이에서 복잡한 균형을 시도하고 있다. 교육 내용의 확장과 다각화 가장 뚜렷한 변화 중 하나는 교육 내용의 확장이다. 과거에는 클래식 발레 테크닉 위주의 교육이 절대적이었다면, 오늘날에는 현대 무용, 캐릭터 댄스, 연기, 음악 이론, 해부학, 심지어 정신 건강에 관한 교육까지 포함된다. 이는 무용수를 하나의 '..

발레 2025.07.04

파리 오페라 발레 학교 입학 시험

파리 오페라 발레 학교(École de danse de l'Opéra national de Paris)의 입학 시험은 세계에서 가장 까다롭고 경쟁이 치열한 무용 학교 선발 과정 중 하나로 손꼽힌다. 1713년에 설립되어 30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이 학교는 매년 전 세계에서 수많은 지원자들이 몰리지만, 실제 합격률은 10% 미만에 불과하다. 이는 단순한 실기 평가가 아니라, 육체적 자질, 음악적 감각, 태도와 인성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엄격한 선발 시스템이다.연령별 차별화된 입학 과정학교의 입학 과정은 지원자의 연령에 따라 체계적으로 구분된다. 8세부터 17세 미만까지 세 그룹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절차를 거친다:8-11세 그룹 8세부터 11세 미만의 어린 지원자들은 6개월간의 훈련 프로그램을 거..

발레 2025.07.04